스토킹/피가마르는 세월의 기록

ChatGPT조작과 요약사이트 조작

가시박힌삶 2025. 5. 6. 22:17

 

이 영상은 상당히 예전의 고전적인 시절의 동영상 같아 보였다. 화질도 그렇지만 삽입되어 있는 이미지들이 전부 예전풍이다. 

마인드컨트롤 TI카페는 가해자들과 호기심에 가입한 일반인들이 주를 이룬다. 그곳에서 누군가 이 영상을 올려두었다. 

나는 이 영상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지난날 내가 받아왔던 스토킹과 방법적인 면에서 너무도 일치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유튜브에 올려두었던 동영상 자료에 제대로 된 자막을 넣기위해 이번에 쳇지피티와 글을 작성하는데... 

이상한 자막이 눈에 띄었다. 분명 영어 음성으로는 다른 음성이 나오는데, 어찌 된 일일까? 

 

이상한 생각이 들어서 영상편집 프로그램으로 텍스트를 뽑아보았다. 유튜브에서 나온 자막과는 전혀 달랐다. 

현재는 영문과 한글 자막을 알아볼수 있게끔 삽입해 둔 상태이다. 

https://brain-hacking-victim.tistory.com/1201

 

그리고 해당 글을 올리는데에 누군가 쳇지피티로 해킹해 들어와 방해를 했다. 

해당 영상은 아주 짤막한 정도의 방해 수준이었지만, 이날 새벽에 작업을 했을 때에는 이상한 답변을 계속했었고, 

글이 마치 춤을 추듯이 올라가고 있었으며, 내가 입력하는 글자들이 의미가 바뀌어져서 입력이 되는 현상이 있었다. 

누군가들이 명백하게 ' 구글번역기 ' 와 같은 번역 프로그램으로 쳇지피티 대신 나와 대화를 하려고 한 것임에 틀림없었다. 

https://youtu.be/G5rLStHTgZA

 

아마도 절대적으로 쳇지피티 수준의 답변 처리속도를 따라갈 수 없었을것이기에, 그것은 불가능하지 않겠나? 

대화도중 나는 돌발적인 질문을 할것이고, 상대는 그것을 인터넷에서 검색하고서 아주 질 낮은 답변을 할 것이다. 

 

나는 혹시나싶어서 lilly.ai라는 요약사이트에서 저 영상을 올려서 요약을 해보았다. 

그랬더니 이런 내용의 영상요약이 올라왔다. 


핵심요약


요약 스크립트


타임라인요약


서로 다른 영상을 보고 있지는 않을 것인데, 어떻게 이런 ' 요약 ' 이 가능한 것일까? 

물론 해당영상에는 이미 누군가가 한글 자막을 삽입해 두었고, 영어는 음성이 있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한글 자막은 보기가 좀 힘들고 ' 가독성 ' 이 떨어지고, 요즘같은 시대에 음성과 함께 ' 자막 ' 은 기본이다 싶었다. 

내게는 중요한 영상이다. 

내가 직접 겪어왔던 그 끔찍했던 일들이 나혼자만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해당영상에서는 ' 기본공식 ' 이라는 말로 표현되어 있지만 나는 언제나 ' 메뉴얼 '이라고 말해왔었다. 

다수가 한 사람을 미치게 하는데에 공모하고 그 방법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치밀한 고의적인 공격이라는

설명이 담겨있는 영상이다. 

 

저 요약은 거의 ' 남량특집 ' 수준이다. 


요약본 영문 ▼

더보기
 
 
This video, titled "Crimes of Mental Illness," appears to be a gameplay video with commentary, focusing on strategic decisions and actions within the game. The core theme revolves around gameplay tactics and performance analysis, with the speaker discussing specific in-game events and their outcomes. The content seems to be a detailed breakdown of a gaming session, highlighting key moments and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player.

 

1. Introduction to Mental Illness and Crime 1
2. Statistics on Mental Illness and Crime 4
3. Case Studies and Examples 7
4. The Role of Society and Support Systems 12
5. Conclusion and Call to Action 17
 
1개 소스 선택됨
현재 자료를 누락없이 꼼꼼히 요약하기
자료를 기반으로, 이미지가 풍성한 SEO최적화된 블로그 글을 작성해줘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and Its Role in Criminalization: A Critique of Social Prejudice based on A
Crimes of Mental Illness: Simple Explanation of Social Stigma and Misconceptions in A
Overcoming Prejudice: Building a Society of Dignity for the Mentally Ill, Inspired by A
 
 
This video, titled "Crimes of Mental Illness," appears to be a gameplay video with commentary, focusing on strategic decisions and actions within the game. The core theme revolves around gameplay tactics and performance analysis, with the speaker discussing specific in-game events and their outcomes. The content seems to be a detailed breakdown of a gaming session, highlighting key moments and strategic choices made by the player.1. Introduction to Mental Illness and Crime 1
  • Mental illness can lead to criminal behavior. 1
  • Understanding this connection is crucial for society. 2
  • Many people are unaware of the seriousness of mental health issues. 3
2. Statistics on Mental Illness and Crime 4
  • A significant number of criminals have mental health disorders. 4
  • Studies show that mental illness is prevalent in prisons. 5
  •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better mental health care. 6
3. Case Studies and Examples 7
  • Notable cases illustrate the link between mental illness and crime. 7
  • For instance, some offenders committed crimes due to untreated conditions. 8
  • These exampl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9
  • Understanding individual cases can help in preventing future crimes. 10
  •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lay a key role in this process. 11
4. The Role of Society and Support Systems 12
  • Society must provide support for those with mental health issues. 12
  • Community programs can help reduce crime rates. 13
  •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is essential for prevention. 14
  • Families should be involved in supporting their loved ones. 15
  • A collaborative approach can lead to better outcomes. 16
5. Conclusion and Call to Action 17
  • Addressing mental health is a societal responsibility. 17
  • We must advocate for better mental health services. 18
  • Everyone can contribute to reducing stigma around mental illness. 19
  • Together, we can create a safer environment for all. 20
  • Let's prioritize mental health to prevent crime. 21
 
 
 
 

요약본 한글 

더보기

목차
1. 정신 질환 및 범죄 소개 1
2. 정신 질환 및 범죄 통계 4
3. 사례 연구 및 예시 7
4. 사회 및 지원 시스템의 역할 12
5. 결론 및 행동 촉구 17

"정신 질환 범죄"라는 제목의 이 영상은 게임플레이 영상으로, 게임 내 전략적 결정과 행동에 초점을 맞춘 해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핵심 주제는 게임플레이 전략과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하며, 해설자는 게임 내 특정 이벤트와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합니다. 콘텐츠는 게임 세션을 자세히 분석하여 플레이어가 내린 중요한 순간과 전략적 선택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 정신질환과 범죄의 소개 1
2. 정신질환 및 범죄통계 4
3. 사례 연구 및 사례 7
4. 사회의 역할과 지원체계 12
5. 결론 및 행동 촉구 17

1개의 소스가 선택되었습니다
최신 자료를 구성하지 않고 요약하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미지가 부족한 SEO최적화된 블로그를 작성해 주었습니다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과 범죄화에서의 역할: A에 기반한 사회적 편견에 대한 비판
정신질환 범죄: 사회적 낙인과 오해에 대한 간단한 설명
편견 극복: 정신질환자를 위한 존엄한 사회 구축, A에서 영감을 받음


'정신질환 범죄'라는 제목의 이 영상은 해설이 포함된 게임플레이 영상으로 보이며, 게임 내 전략적 결정과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핵심 주제는 게임플레이 전략과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발표자는 특정 게임 내 이벤트와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합니다. 내용은 게임 세션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플레이어가 내리는 중요한 순간과 전략적 선택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 정신 질환과 범죄 소개 1
정신 질환은 범죄 행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이러한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에 매우 중요합니다. 2
많은 사람들이 정신 건강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3
2. 정신 질환과 범죄 통계 4
상당수의 범죄자들이 정신 건강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4
연구에 따르면 교도소에서 정신 질환이 만연합니다. 5
이는 더 나은 정신 건강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6
3. 사례 연구 및 예시 7
주요 사례들은 정신 질환과 범죄의 연관성을 보여줍니다. 7
예를 들어, 일부 범죄자들은 ​​치료받지 않은 질환으로 인해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8
이러한 사례들은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9
개별 사례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범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0
정신 건강 전문가는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1
4. 사회와 지원 시스템의 역할 12
사회는 정신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12
지역사회 프로그램은 범죄율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3
정신 건강 교육은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14
가족은 사랑하는 사람을 지원하는 데 참여해야 합니다. 15
협력적인 접근 방식은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6
5. 결론 및 행동 촉구 17
정신 건강 문제 해결은 사회적 책임입니다. 17
우리는 더 나은 정신 건강 서비스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18
모든 사람은 정신 질환에 대한 낙인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19
함께라면 모두에게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
범죄 예방을 위해 정신 건강을 우선시합시다. 21

 


아래는 영문으로 된 요약을 ChatGPT에게 번역을 요청하고 받은 답변이다. 

 

이 영상은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그로 인한 부당한 범죄화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범죄자로 낙인 찍히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러한 편견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로 인해 피해를 입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영상은 이러한 잘못된 인식과 차별을 불식시키고,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의 평등한 구성원으로 존중받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합니다. 또한 정신 질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안전하고 존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범죄가 사회의 무관심과 편견에서 비롯된다고 제안합니다.

본문과 하등의 상관이 없는 내용으로 ' 요약 ' 이 되어있다. 

이것은 몇줄 정도의 오류가 아니다. 

거의 미친수준으로 음해되고 있다. 

일전에  ebook조작과 마인드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이건 정말 너무나도 정신질환적으로 집착하는것이 아닌가!

 

https://brain-hacking-victim.tistory.com/1190

 

텍스트로 확인▼

더보기

허구가 그때마다 다른 것이고 순간적인 착상이면, 어리석음(Narrheit)이나 우둔(fatu itas)이다. 그러므로 미친 사람이 정신병원에 입원할 때, 그의 전 경력을 묻는 것은 아주 곤란하다. 그의 기억에는 언제나 진실과 허위가 혼합되어 있다. 직접적인 현재는 옳게 인식되어도 그 현재가 망상된 과거와 허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진실이 아닌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미친 사람 은 자기 자신과 타인을 단지 자기의 허구의 과거 속에만 있는 인물과 동일시하고, 아는 사람을 전혀 아는 사람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현재의 개별적인 사물은 옳게 표상하고 있으면서도, 그것과 현재에 없는 사물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옳게 표상하지 못한다. 광기가 고도로 진행되면, 완전한 기억 상실 상태가 된다. 그렇게 되면 미친 사람은 무언가 현재에 없는 것이나 또는 과거의 것에는 전혀 고려할 능력이 없이, 오직 그의 머릿속에서 과거를 채우고 있는 여러 허구와 결합하여, 완전히 그때그때의 변덕스런 기분에 의해서만 규정하게 된다. 

 

이렇게 미친 사람에 대해서는 언제나 눈앞에서 우세한 것을 보이지 안 사람을 학대·살해하지 않는다고는 한순간도 보장할 수 없다. 미친 사람의 인식은 현재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물의 인식과 공통된다. 그러나 동물은 본래 과거 그 자체의 표상은 전혀 갖고 있지 않 다. 물론 과거는 습관을 매개로 하여 동물에게 작용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가령 개는 여러 해가 지나서 전 주인을 만나도 그 사람을 주인으로 식별한다. 즉 그 사람을 보면 전에 길들여졌던 인상이 새삼 떠오르는 것이다. 그러나 그사이에 경과한 시간에 대해 서는 아무런 기억도 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미친 사람은 그 이성 속에 추상적으로 언제나 일종의 과거를 가지고 다닌다. 그러나 그 과거는 허구이며, 그에게만 존재하고 또한 언제나 존재하든가, 아니면 바로 지금에 만 존재하든가 한다. 이러한 허구적인 과거의 영향은, 동물조차도 할 수 있는,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그런 한에서는 여전히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 고뇌가 영속적인 고통으로 있는 것은 사상 뿐이며, 따라서 ‘기억(Gedächtniß)'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마음의 고통, 이러한 괴로운 지식 혹은 추억이 아주 심해 도저히 참을 수가 없어서, 그 사람이 여기에 패배하게 되면, 그래서 그러한 고뇌로 번민하는 사람은 인생 최후의 탈출 수단으로써 ‘광기(W ahnsinn)'에 호소한다. 그리하여 심하게 상처를 받은 정신은 말하자면 기억의 실마리를 절단하여, 그 간격을 허구들로 채우고, 그 힘으로 견딜 수 없는 정신적 고통에서 광기로 도피하는 것이다. 이것은 신체가 썩어 가는 병에 걸린 수족을 절단하여 의족으로 대치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 실례로 미쳐 가는 리어 왕과 오필리아를 들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작중 인물들이야말로, 참된 천재가 만들어 낸 알려진 인물들로서 우리들이 여기서 인용할 수 있는 것인데, 

책의 내용은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쇼펜하우어 작품이다. 물론 책의 내용중에 ' 광인 ' 에 대한 내용은 있었을것이다. 

문제는 진짜 이책이 이렇게 번역이 되어있는것인지 확인하기 힘들지만, 가해자들이 지금까지 취해왔던 

' 나의 과거 ' ' 기억 ' 에 대한 집착만큼은 동일하고, 인간을 동물로 빗대어진 부분은 우연이라고 볼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지식이 악의적으로 사용되면 어떤 현상이 벌어지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케이스이다. 

 

이런 부분들이 한 인간에게 억지로 ' 광인 ' 이기를 요구하는 맥락에서 위의 요약사이트의 뜬금없는 요약의 내용과 

전혀 다를바가 없는것이다. 

 

누군가 내가 반드시 이 사회에서 ' 정신질환자 ' 로 완전히 낙인찍히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존재하는것 같다. 


 

 

Auntie, 

you must be making money.

 I'm jealous^^

 

 

 

 

 

 

 

 

Victim:
I don't know. What will happen,
You know our fate, right?
(Laughs)

Perpetrator:
The fate is created by the person involved!

It is true that the damage is greatly affected,
but the damage is not everything in life~

 

 

But I don't remember your face?
I thought you were cute when we met at the gathering?

Am I also suffering from dementia??
(Laughs)

 

 

 

 

 

 

 

 

명백한 가해자들이 피해자 흉내를 내면서 위장하여 피해자를 관리한다.

방송국에서는 피해자에게는 전혀 연락이 없으나, 가해자들은 몇차례씩

방송에 출연한다. 그들주 주목적은 이 세상에서 ' 마인드컨트롤 ' 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전부 미친사람입니다. 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들은 전혀 소식이 없다가 피해자가 활동을 할때,

블로그에 글을 올리거나 유튜브나 기타 민원을 넣거나 할때에

갑자기 불쑥 연락을 하거나 댓글을 단다. ' 방해공작 ' 이다.

 

갑자기 전화가 와서 너무 힘들다고 하면서 자신이 피해를 겪는다고 한다.

그러면 피해자는 1시간, 2시간이 넘게 통화를 한다. 그러다가 마지막에

전화를 끊을때쯤에 뭔가 자신이 피해자가 아님을 암시해주고 전화를 끊는다.

이들은 치밀하고 계획적으로 이런일을 하기때문에 단순히 타인을 싫어해서

이런짓을 하는것이 아니다.

이들은 피해자를 ' 관리 ' 하는것이다.

 

인간을 ' 관리 ' 해야하는 직업은 무엇이 있을까.

' 인간 ' 으로 수익을 얻는 인간일것이다.

두개골에 들어있다 할지라도 ' 뇌 ' 역시 장기이다.

그것을 관리하고 있다라는것은 이들이 얼마나 끔찍한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인지 가히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것은 살아있는 곰을 철창안에 가두고, 쓸개에다 호수를 연결해놓고

아래에 병을 받치고 곰의 쓸개즙을 병에다가 받아내는 일과 똑같다.

 

이들의 마음은 은연중에 나타난다. 언제 해고될지 모르는 피해자의 삶은 

직장에 나가 동료를 만나고, 화기애애하게 대화를 나누고, 

길거리를 자유분방하게 돌아다니는 삶이 아니다. 

버티고... 버티고... 버티고... 버티는 삶이다. 남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모든것을 빼앗긴 사람이다. 

그가 만약 피해자였다면 어디선가에서 너무나도 버티는것이 버거워서 

전화할 시간도 없을뿐만 아니라, 절대로 

이 피해를 받는것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는 말은 절대로 하지 않을것이다. 

 

이모티콘은 마치 위에서 아래로 사람을 내려다보는듯하다. 

빼앗긴 삶을 살아가는 사람을 비열한 수단으로 권력을 얻고 내려다보는것이다. 

 

이 범죄를 당하는 피해자의 입장은 

세상에서 가장 예의없고 막돼먹은 인간들에게 

자신의 가장 소중한것을 , 인간으로서 내보일수 없는것을 내보여주고 있게 되는것이다. 

 

그들의 진심은 무의식적으로 드러난다.
언제든 무시당할 수 있는 피해자의 삶은
동료들과의 다정한 대화나 도심을 여유롭게 거닐는 삶이 아니다.

그것은 견디고… 견디고… 견디고… 끝없이 견디는 삶이다.
다른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모든 것을 박탈당한 삶이다.

만약 그 사람이 진정한 피해자라면
너무 압도되어 전화 한 통 할 수조차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이 고통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야."*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진정한 피해자라면 절대 그런 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이 사용하는 이모티콘은 마치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듯하다.
삶을 빼앗긴 사람을 내려다보며,
비열한 수단으로 얻은 거짓된 힘으로 그들을 조롱한다.

이 범죄에서 피해자의 위치는
세상에서 가장 무례하고 타락한 사람들에게
인간의 가장 신성하고
가장 드러내기 힘든 부분을 드러내도록 강요받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