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피가마르는 세월의 기록

삶이 녹록치 않은 미인박명영상으로 보는 온라인여론전의 행태

가시박힌삶 2024. 5. 29. 20:45

 

새 창에서 열기

 

가능공주철없는.txt
0.02MB

영상을 보는 나의 생각: 

 

 

 

어제 새벽에 쓴글이 있다. 

파일로 첨부해놔야지. 

뭐 새벽에 좀 심심해서 이것저것 생각나는대로 낙서좀 했는데, 

참 10년동안 매일 , 어떤날은 한 30명도 넘게 이런짓을 하더니, 여전히 계속 지랄이구만, 

 
I wrote something late last night.

I'll attach it as a file.

Well, I was a bit bored in the middle of the night, so I scribbled down some thoughts.

I can't believe it—every day for 10 years... On some days, more than 30 people have done this kind of thing, and they're still at it!

 

It seems that now, they no longer expect anything moral, right, just, or legitimate.

 

 

녹록치 않다는 자막은 잊지않고 끼워주고!

(여론전 아니 심리전으로 알고 있지? 쓸데없는 공격을 심리전으로 알고 있더라구)

 

이짓만 한 10년 하던데???

(You know it's psychological warfare, not just a public opinion war, right? They consider unnecessary attacks as psychological warfare.)

They've been doing this for about 10 years???

 

내가 문제 삼는것은 내가 어젯밤 글에 썼던 ' 쓰레기 ' 라는 단어와, 물론 이건 전에도 말했던것이긴 하죠. 문제는 오늘 내가 본 영상에 삽입되어 있었던거죠. 왜 그랬을까요? 이들이 얼마나 추잡스럽게 사람을 가지고 노는지 알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들이 어떻게 영상을 편집하고 방송을 이용해 사람을 짜증나게 하는지 제 본 오늘 영상에서는 두세편 정도, 그것도 한국쓰레기들. 정도 였지만, 한참때는 제가 보는 모든 영상들이 다 저런식이었죠.

 

What I take issue with is the word "trash" that I used in my writing last night. Of course, I have mentioned this before. The problem is that it was inserted into the video I watched today. Why did they do that? This shows how disgustingly manipulative they can be.

You can see how they edit videos and use broadcasts to annoy people. In the video I watched today, there were two or three instances—featuring Korean trash. But at one point, all the videos I watched were like that.

 

https://youtube.com/shorts/KyPDQOy5iVA?si=M0N2C-i1wpaTODpu

 

 

 

 

 

 

 

 

 

 

 

 

 

 

 

 

 

 

 

 

https://youtube.com/shorts/fB3P5Wl4Zcg?si=c-g-FZQjNMk3wGkg

 

이 영상 역시 ' 쓰레기 ' 라는 자막이 바로 나오네요. 

In this video as well, the subtitle "trash" appears immediately.

The content of the video doesn't seem to be heavily criticizing anyone, though.

끝까지 버티다 - through

 

이것도 좀 볼만하다. 이분 그런데 발음이 약간 중국인 느낌 나네?  

이 영상도 역시 영어강의 영상이에요. 유익하죠? 유익함으로 가득차있죠. 아직은요. 설마 자신들로 나를 다 둘러싼 상태라고 할수는 없으니까요. 뭐 저로서는 충분히 의심은 할만 합니다. 늘 그래왔고, 그렇게 생각할만한 근거를 조금 주네요. 자신과 연관된 단어가 나오면 그렇게 생각해볼만 하겠죠? 10년동안이나 지속된 일이라면 말입니다. 자 일단 이런 영상들에 대해서 말하고 싶은것이 아닙니다. 저는 ' 세뇌 ' 에 관하여 말하고 싶습니다.

 

This is also quite watchable. But doesn't this person's accent sound a bit Chinese? This video is also an English lesson video. It's informative, right? It's full of useful information. For now, at least. I can't say they have completely surrounded me yet.

I have plenty of reasons to be suspicious. I always have been. They give me some reason to think so. When words related to me come up, it makes sense to consider it, especially since it's been going on for 10 years.

But I'm not here to talk about these kinds of videos. I want to talk about 'brainwashing'.

https://youtube.com/shorts/fh4IerxerNw?si=G8wAjzmEfqXAXWD0

결정3단계 - 영향을 미치다.

 

나는 지난 이틀동안 키아누 리브스를 생각했다. 내가 그를 생각할일이 특별히 있었던것은 아니지만, 

그냥 자연스럽게 머리속에 그가 떠올랐다. 왜일까?

나는 이틀동안 유튜브 쇼츠 영상을 보며 스트레스를 풀었고, 

정서적인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의 쇼츠동영상이 연이어 계속 나왔다. 

 

For the past two days, I've been thinking about Keanu Reeves. There was no particular reason for me to think about him, but he just naturally came to mind. Why is that?

For two days, I was relieving stress and taking an emotional break by watching YouTube Shorts videos.

 

Then I ended up watching his video, and I briefly thought about the meaning of a video where he cuts a loaf of bread in half. I couldn't figure it out, so I just left it at that.

 

그리고 나서 , 밥도하고, 밥도 먹고, 아들과 대화도 하고 잠도 자고, 한국에서 가져온 증거영상을 편집했습니다. 그 일을 하는 동안 저는 내내 머리속으로 그를 생각한다는것을 알았습니다. 왜였을까요? 물론 그는 좋은배우이기때문에 머리속에 떠오를만하죠. 그러나 더 큰 이유가 있습니다. 10년동안 저의 머리는 전혀 풍요롭지 못했습니다. 이들은 저의 뇌를 굉장히 단순한 뇌로 만들어버렸습니다. 저는 아마 두번다시 예전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And then, I did chores, had meals, conversed with my son, slept, and edited footage from Korea. During that task, I realized I kept thinking about him the whole time. Why was that? Of course, he's a great actor, so it's natural for him to come to mind. But there's a bigger reason.

For the past 10 years, my mind hasn't been very rich. They've turned my brain into a very simple one. I may never be able to return to how I was before.

 

문제는 단조로움입니다. 저의 생활이 단조로운것이 아니라, 저의 머리속이 단조롭다는뜻입니다. 물고리로 따지면 예전에는 수많은 종들이 헤엄치며 살았었다면, 이제는 두세종 정도밖에 헤엄치지 않는것이나 다름없죠. 이 작업은 10년동안 꾸준히 진행되었기때문에, 저는 아무런 정보가 없는 상태 바로 그 자체인거죠.

 

The problem is monotony. It's not that my life is monotonous, but that my mind is. If we were to liken it to a pond, whereas before there were many different species swimming around, now there are only two or three. This process has been ongoing for 10 years, leaving me in a state of complete lack of information.

 

아무런 정보가 없는 상태에 놓여진 사람의 마음속은 하얀 도화지와도 같습니다. 세뇌를 할때에 두가지 방법을 쓴다고 합니다. 정보를 과다하게 많이 주거나, 또는 정보를 아예 주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죠.

"When someone is in a state of complete lack of information, their mind is like a blank canvas.

It is said that there are two methods used in brainwashing. One is to provide excessive amounts of information, and the other is to provide no information at all."

 

 

저의 생각으로 정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게 되면 사람은 판단능력이 점점 떨어지고, 문제인식을 제대로 할수가 없어집니다. 정보가 정확히 들어와야 그것을 걸러내기도하고, 받아들이기도 하는것이죠. 그러나 , 들어오는 정보가 일단 비정상적이라는것을 처음부터 인지하게 되면, 그후로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저절로 정보가 부족해지는것이죠. 수많은 방송인들이 왜 피해자의 사생활을 아는척했는지 그 답이 보이는것입니다.

"When someone is unable to process information properly, their judgment deteriorates, and they lose the ability to properly identify problems. Information must be accurately received in order to filter and accept it. However, if the incoming information is perceived as abnormal from the start, it will not be accepted thereafter.

As a result, there is automatically a lack of information. This is why many broadcasters pretended to know about the victims' private lives."

 

여기에서 정보란? 어떤 기밀이나 특급서류들을 말하는것이 아닙니다.

평범한 사람들에게 정보란, 어디에서 무슨일이 일어났다. 자연재해, 뉴스, 정치, 사회문제, 또 그런 심각한 사안들보다 더욱 중요한것은 웃음을 잃지않는 삶입니다. 친근함, 웃음은 사랑의 기본이죠. 이것이 없이는 다른 사람을 배려할수도 없죠. 이웃보다 tv와 생활을 더 많이 하는 현대인들에게 tv방송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그런점때문입니다. 

"Here, when I mention 'information,' I'm not referring to any classified documents or top-secret files. For ordinary people, 'information' means knowing what's happening, whether it's natural disasters, news, politics, social issues, or even more importantly, not losing the ability to laugh in life. Warmth and laughter are the foundation of love. Without them, it's impossible to consider others.

 

유행어가 있는 이유는 방송을 통해 그 웃음이 왜 웃기는지 공감하고 또 그것을 유행어로서 다른사람들과 나누기때문이죠. 그러나 피해자는 근본적으로 그것이 단절된삶을 살게 됩니다. 친구를 만날수 없는것은 기본이고, tv를 볼수조차도 없죠. 사생활을 들여다보는것처럼 쇼를 마련하며 조롱해대는 방송을 도저히 볼수가 없는것입니다. 

For modern individuals who spend more time with TVs and their daily lives than with their neighbors, television broadcasts are essential for this reason. The reason behind trending phrases is that through broadcasts, people understand why certain things are funny and share that understanding with others as trending phrases.

 

 

얼핏보면 방송인들이 피해자에게 불만이 많아서 그런듯 보입니다. 그러나 그런일이 가능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죠. 그것을 지당한 것이라고 받아들이면서 권력을 그대로 자신들의 힘으로 비축해왔다면 그것은 그들의 선택입니다. 물론 저는 그들을 비난할것이고, 지금은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물론 정치와 종교의 문제가 있기는 합니다. 전혀 상관없는 사람들과의 반감이 생겨날수 있는 유일한 원인.

 

 

도저히 tv조차 볼수없게 만드는 행태가 계속 되면 , 정보는 점점 차단됩니다. 평범한 사람의 정보력이라는것이 얼마나 단순한지 저는 처음 생각해봤습니다. 거의 tv나 소셜매체들이고, 그것을 나누는 과정에서 재탄생을 하고, 화산이 분화하듯 공장이 가동되듯 생활환경이 주변사람들과 어우러져 돌아가다가 또 정보가 탄생되는거죠. 

 

However, victims fundamentally live a disconnected life. They can't even meet friends, let alone watch TV. They simply can't bear to watch broadcasts that make a spectacle out of their privacy. On the surface, it might seem like broadcast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victims.

But is such a thing possible? No, it isn't. They have no connection with the victims. If they've accepted it as appropriate while maintaining their power with their own strength, it's their choice. Of course, I'll criticize them,

but for now, I'll just let it go. 

Of course, there are issues with politics and religion. They are the only causes that can create resentment among completely unrelated people.

누군가를 만나기로 했다던가, 일이 새로 생겼다던가, 그런 생활속 정보들이 평범한 사람들의 정보입니다. 책에서 얻고, 미디어에서 얻고 가까운 사람들에게서 얻죠. 공감하고, 나누고, 주고, 받고, 생성하고 그것을 반복하면서 사유하고, 고민하고, 하는거죠. 피해자는 책조차도 볼수없죠. e북의 시대에 피해자가 듣는 오디오북이나 e북조차도 관여하여 조작되었었습니다. 

모든 눈과 귀를 차단했고, 그러기위해 길거리, 직장, 주거지 모든곳들이 전부 다 자신들로 채워졌고, 완전히 차단된 상태였죠. 이것은 단순한 왕따가 아닙니다.

 

If the behavior that makes it impossible to watch TV continues, information will be gradually blocked.

I've realized how simple ordinary people's information capacity is. It's mostly through TV or social media, an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it's reborn. Like a volcano erupting or a factory running, life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and people around, producing information. Whether it's planning to meet someone, getting a new job, these are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of ordinary people.

 

They get it from books, media, and close people. They empathize, share, give, receive, create, and repeat, while thinking and pondering.

Victims can't even read books. Even in the era of eBooks, audio books or eBooks that victims listen to have been manipulated.

They've blocked all eyes and ears, and to do so, streets, workplaces, residences—all were filled with their own presence, resulting in a complete blockade.

This is not mere ostracism."

 

한국의 방송매체, 그리고 국민들, 정치집단들이 아무런 양심없이 무고한 피해자의 뇌에 강제적으로 감청장치를 달고, 

자신들끼리 공유하면서 있을수없을만큼 핍박하며 , 그 죄악을 ' 마인드 컨트롤 ' 을 통해 이 사회에서 

감춰오고 있었던 것입니다. 

 

아래 글을 2020년도경 ' 마인드 컨트롤 = 세뇌 ' 에 관하여 위키백과에 나온 내용입니다. 

세뇌와 관련된 책에서는 거의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gdbD2XzUhLw?si=ppg9iPzUNoy9xO0E

 

 

 

 

 

 감옥을 만드는 대신에 사람들이 정신을 못차리고 판단을 못하도록 여론전을 펼치더라구. 

나는 연예인들이나 방송국, 기자들 그런 사람들에게 한가지 당부하고싶어, 

내가 비난하려는것이 아니라, 그냥 진솔하게 당부하는거야. 

당신들은 말이야. 전국민의 정신을 담당하고 있어. 

그리고 여론의 선봉장에 서있지. 

그런 당신들이 피해자의 사생활을 캐내서 어떻게 사용했는지 잘 생각해봐. 

그게 당신들이 하는 일이야. 

그걸 좀 깨달았으면 좋겠어. 당신들은 의미있는 그 어떤걸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는 사실을. 

국민의 정신의 방향을 움직이는 사람들이고, 거기에 놓여진 인형들이야. 

그런데 지금까지 당신들은 그것을 모르고 , 권력을 행사해왔어. 

 

뭔가 말하고싶고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고 싶겠지만, 한가지만 명심해줘, 

당신들은 당신들이 무슨일을 하고 샆아가는지 분명히 알아야해. 

 

끔찍할정도로 방송에 나와서 떠들어대던 인간들.

 

강의를 듣던 도중 사람들의 생계가 사람들의 마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날의 한국사회에서 사람들의 생계가 세상에 말을 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되고, 

그것이 세상에 널리 퍼지고 있다면, 

과연 저들이 생계로 인하여 , 올바른 말을 할수 있을까? 구조적으로? 

오늘날 방송, 언론이 떠안고 있는, 지식인들이 느끼지도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과 마음이 닫혀지는 이유에 대하여 무릎을 꿇은지가 오래되었다. 

역겹다, 

사람들이 나와서 저들이 하는말에 공감을 한다는듯 끄덕이며 그안에 안주하는 모습들이..

 

만약 누군가 올바른말을 해야한다면, 

민주주의적인 가치로 생각해보았을때,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어떠한 일은 

그렇게 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라고 말해야한다. 

 

 

 

뜻하지 않은곳에 신의 뜻이 있더라.